지난 글들
1164개의 글이 있습니다
LLM(대규모 언어 모델)의 오해와 실제 작동 방식
2. Chris Hasiński - Next Token! - wroc_love.rb 2025
- LLM은 채팅, 사고, 도구 사용을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토큰 예측과 외부 시스템 연동을 통해 이러한 기능들을 구현합니다.
- Stop Token, 임베딩, 출력 포맷팅 등 LLM의 핵심 작동 원리가 설명되며, 특히 Ruby 환경에서의 관련 도구 활용 사례가 제시됩니다.
- LLM 생태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 '마법의 토큰 생성기'인 LLM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은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wrocloverb
2025년 04월 17일
프로덕션 버그를 20배 빠르게 해결하는 방법: 구조화된 로깅의 힘
3. John Gallagher - Fix Production Bugs 20x Faster - wroc_love.rb 2025
- 이 발표는 Ruby on Rails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덕션 버그를 20배 빠르게 해결하기 위한 5단계 접근 방식(SOS)을 제시합니다.
- 핵심은 일반 텍스트 로그 대신 구조화된 로깅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가시성을 극대화하고 문제 해결 시간을 단축하는 것입니다.
- Semantic Logger와 OpenTelemetry 표준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그래프를 통해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wrocloverb
2025년 04월 17일
아담의 소프트웨어 개발 실패 사례와 교훈
13. Adam Piotrowski - It is not so bad, after all - wroc_love.rb 2025
- 루비 컨퍼런스에서 아담이 경험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다양한 문제 상황과 실패 사례를 공유합니다.
- 채용, 팀 관리, 고객 관계, 클라우드 비용, 시스템 통합 등 비기술적 측면의 어려움과 그로부터 얻은 교훈을 이야기합니다.
- 신뢰의 중요성, 명확한 소통의 필요성, 오래된 시스템 관리의 위험성 등을 강조하며 업계의 현실을 유머러스하게 전달합니다.
wrocloverb
2025년 04월 17일
Rail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권한 부여 전략: Pundit에서 Fine-Grained Authorization까지
5. Yatish Mehta - No 'Pundit' Intended - wroc_love.rb 2025
- Rails 애플리케이션의 권한 부여 방식은 암묵적 방식, CanCan, Pundit을 거쳐 발전했으며, 각 방식은 앱 규모에 따라 확장성과 관리 용이성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 Pundit은 유연하지만 복잡성 증가 시 리팩토링, 성능, 디버깅, 역방향 조회에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 Google Zanzibar 프로젝트 기반의 Fine-Grained Authorization(FGA)은 관계형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저장하고 규칙을 정의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며, `granity` 젬을 통해 Rails에서 구현 가능합니다.
wrocloverb
2025년 04월 17일
차세대 Ruby JIT, ZJIT: 컴파일된 코드 재사용을 통한 성능 최적화
ZJIT: Building a Next Generation Ruby JIT
- YJIT의 대규모 환경 내 중복 컴파일 및 자원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ZJIT가 제안되었습니다.
- ZJIT는 실행 간 컴파일된 코드를 저장하고 재사용하여 중복 작업을 제거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컴파일러가 코드 최적화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도록 하여 Ruby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추구합니다.
HackerNews
2025년 04월 17일
네임스페이스의 현재 상태
Ruby: State of Namespace
- 네임스페이스는 이름 충돌 방지 및 코드 조직화를 위한 핵심 개념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다양한 구현 방식을 가집니다.
- Ruby에서는 모듈(Module)과 클래스(Class)를 활용하여 네임스페이스를 구현하며, 효율적인 설계는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에 필수적입니다.
- 네임스페이스 설계 시 깊이, 응집도, 결합도를 고려해야 하며, 이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복잡성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ackerNews
2025년 04월 16일
Ruby 3.4.3 릴리스
Ruby 3.4.3 Released
- Ruby 3.4.3 버전이 2025년 4월 14일, 버그 수정을 포함한 정기 업데이트로 릴리스되었습니다.
- Ruby 3.4 버전은 2개월마다 정기 업데이트될 예정이며, 다음 버전인 3.4.4는 6월에 릴리스될 계획입니다.
- 이번 릴리스는 많은 커미터, 개발자, 그리고 버그 보고자들의 기여로 이루어졌으며, 상세 내용은 GitHub 릴리스 노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Ruby-Lang
2025년 04월 14일
Active Record 서명된 ID 검증기 리팩토링
Refactoring Active Record Signed ID verifiers
- Rails 코드베이스의 주요 변경 사항으로 Active Record 서명된 ID 검증기 리팩토링이 진행되었습니다.
- 할당된 Active Record 객체에서 연관 관계 조회를 허용하여 Mocha와 같은 테스트 프레임워크에서의 충돌을 방지합니다.
- 이번 주 Rails 코드베이스에는 15명의 기여자가 참여하여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This Week in Rails
2025년 04월 11일
Ruby 3.3.8 출시
Ruby 3.3.8 Released
- Ruby 3.3.8 버전이 2025년 4월 9일에 공식적으로 릴리스되었습니다.
- 이번 릴리스는 다양한 다운로드 옵션과 함께 제공되며, 상세 정보는 GitHub 릴리스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릴리스는 수많은 커미터, 개발자, 그리고 버그 리포트를 제공한 사용자들의 기여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Ruby-Lang
2025년 04월 09일
Artificial Ruby 밋업 발표자 모집 공고
Call for Speakers
- 2025년 4월 9일 뉴욕에서 개최되는 Artificial Ruby 밋업에서 발표자를 모집합니다.
- 이번 밋업은 Ruby와 AI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 10분 기술 발표를 찾고 있습니다.
- 주요 발표 주제는 AI 프로덕션, 생성형 AI 튜토리얼, Ruby AI 젬, 코드 생성 및 개발자 지원 등 Ruby와 AI 기술의 융합 분야를 다룹니다.
Ruby AI News
2025년 04월 09일
Ruby on Rails 환경에서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축 여정
[EN] Real-time Analytics in Rails - Mission Impossible? - Miron Marczuk
- 본 발표는 Ruby on Rail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며 겪은 경험과 주요 도전 과제를 다룹니다.
- OLTP와 OLAP 데이터베이스의 근본적인 차이점과 롤업, 슬라이싱, 다이싱 등 핵심 분석 연산 개념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 기존 PostgreSQL 기반의 맞춤형 롤업 시스템이 가진 확장성 및 유연성 한계를 인지하고, Apache Pinot, ClickHouse와 같은 전문 분석 데이터베이스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과정을 제시합니다.
Visuality.pl
2025년 04월 07일
Ruby 웹 스크래핑: Faraday, Nokogiri, Selenium, Capybara 활용 가이드
Web Scraping with Ruby | ScrapingBee
- Ruby를 활용하여 Faraday, Nokogiri, Selenium, Capybara Gem을 사용한 웹 스크래핑 기술을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 정적 HTML 파싱부터 동적 JavaScript 콘텐츠 처리, 안티 스크래핑 우회, 병렬 브라우저 자동화까지 포괄적인 스크래핑 기법을 학습합니다.
- 실제 웹사이트 예시와 상세한 코드 설명을 통해 HTTP 요청, HTML 파싱, 데이터 저장, 병렬 스크래핑 프로젝트 구축 방법을 실습합니다.
Ruby Newbie
2025년 04월 07일
MonkeysPaw 소개: Ruby를 위한 프롬프트 기반 웹 프레임워크
MonkeysPaw – a prompt-driven web framework in Ruby
- MonkeysPaw는 LLM을 활용하여 자연어 프롬프트로부터 전체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Ruby 웹 프레임워크입니다.
- 이 프레임워크는 전통적인 HTML, CSS, JavaScript 대신 사용자의 '소원(wishes)'을 통해 콘텐츠 중심의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 창의성과 표현에 중점을 두지만, 결과의 예측 불가능성, 성능 저하, 복잡한 상호작용 처리의 어려움 등 '예상치 못한 결과'도 수반합니다.
HackerNews
2025년 04월 05일
이번 주 Rails 코드베이스 변경 사항
must-understand, with_default_isolation_level, Rails World CFP and more!
- Rails는 RFC 9111에 따라 캐시 동작을 개선하기 위해 `must-understand` 지시어를 도입했습니다.
- 쿠키 이름의 길이를 쿠키 크기 제한 계산에 포함하여 브라우저 표준에 부합하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ActiveRecord에 `with_default_isolation_level` 메서드가 추가되어 특정 코드 블록에 기본 데이터베이스 격리 수준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This Week in Rails
2025년 04월 04일
Zed 에디터에서 Ruby LSP 설정 및 활용 가이드
Setting up Zed with Ruby LSP | Andy Waite
- Zed 에디터에서 공식 Ruby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Ruby LSP를 설정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 Ruby LSP의 진단(linting), onTypeFormatting 비활성화, 전역/로컬 설정 관리 등 주요 구성 요소를 다룹니다.
- Zed의 Tasks 기능을 활용한 테스트 실행 및 VS Code 대비 미지원 기능과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jeff
2025년 03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