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들
741개의 글이 있습니다
Rails World 2025: DHH, 전체론적 개발 접근과 Rails 8.1, 그리고 OMHI OS의 비전 제시
A Chat with DHH: What's coming in the Rails World Opening Keynote?
- Rails 8.1은 Active Job Continuations, 구조화된 로깅, Markdown 지원 등 주요 기능과 함께 오늘 첫 베타가 출시되며, 이미 Shopify와 GitHub에서 프로덕션 환경에 사용 중입니다.
- 개발 프로세스의 전체 그림을 고려하여, 배포 시간을 과거 FTP 수준인 5초에 가깝게 5분 이내로 단축하고 개발자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Rails의 핵심 목표입니다.
- DHH는 Apple의 제약에서 벗어나 개발자에게 완전한 제어권을 제공하고자 Arch와 Hyprland 기반의 Linux 배포판인 OMHI OS를 개발하여, Rails 개발을 위한 완벽한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Ruby on Rails Youtube
2025년 09월 04일
Forge에서 활용된 현대적인 CSS 구성 기법
Modern CSS organization (in Rails) | Rails Designer
- CSS Layers는 스타일의 캐스케이딩 방식을 명확하게 제어하여 예측 가능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CSS를 가능하게 합니다.
- CSS Custom Properties(변수)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생성을 돕고, 중첩된 컨텍스트에서도 손쉬운 스타일 조정을 제공합니다.
- CSS Nesting은 Sass와 같은 전처리기 없이도 깔끔하고 구조화된 스타일 작성을 지원하여 코드 가독성을 향상시킵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4일
Action Text를 위한 새로운 리치 텍스트 에디터, Lexxy 소개
Lexxy: A new rich text editor for Rails
- Lexxy는 Meta의 Lexical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Action Text에 향상된 텍스트 편집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리치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 기존 Trix의 한계를 극복하며, 마크다운 지원, 실시간 코드 하이라이팅, 첨부 파일 미리보기 등 다양한 고급 기능을 통합했습니다.
- Lexxy 도입으로 Action Text 에디터 설정이 유연해지며, Rails 생태계에 다른 에디터 통합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HackerNews
2025년 09월 04일
Rails 8.1 Beta 1: 작업 연속성, 구조화된 이벤트, 로컬 CI
Rails 8.1 Beta
- Rails 8.1 Beta 1이 500명 이상의 기여자와 2500개 커밋을 통해 출시되었으며, Active Job 연속성, 구조화된 이벤트 보고, 로컬 CI 등 핵심 기능이 포함됩니다.
- Active Job 연속성 기능은 장기 실행 작업을 단계별로 나누어 재시작 시 마지막 완료 지점부터 재개 가능하게 하여 배포 시 작업 중단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 새로운 이벤트 리포터는 구조화된 이벤트 생성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하며, 로컬 CI는 개발 머신에서 대규모 테스트 스위트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HackerNews
2025년 09월 04일
Rails 테스트 스위트 및 CI 시간 절반으로 단축하기
The Whop chop: how we cut a Rails test suite and CI time in half
- 테스트 스위트 속도 향상을 위한 핵심은 정확한 프로파일링(StackProf, TestProf)을 통해 숨겨진 로깅 및 팩토리 오버헤드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것입니다.
- FactoryBot 최적화(let_it_be, create_default)와 test-queue로의 병렬화 전환은 성능을 크게 개선했지만, 동시에 테스트 격리 문제를 노출시켰습니다.
- 시간 관련 오류, 전역 상태 오염, 캐시 누수 등 불안정한 테스트를 해결하여 테스트 스위트의 신뢰성과 속도를 동시에 확보했습니다.
Evil Martians
2025년 09월 03일
Hotwire Native로 Rails 앱을 모바일 앱으로 확장하기
The Ruby on Rails Podcast Episode 532: Hotwire Native with Joe Masilotti
- Joe Masilotti가 Hotwire Native를 통해 Rails 개발자가 웹 기반 iOS 및 Android 앱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Hotwire Native는 기존 Rails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활용하여 모바일 앱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솔루션입니다.
- Flipper는 코드 배포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고 기능 롤아웃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능 플래그 솔루션으로 소개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AnyCable 1.6.0 릴리스: 성능 향상 및 확장성 강화
AnyCable Docs
- AnyCable 1.6.0은 `anycable-go`에 구독 및 브로드캐스트 어댑터 API를 도입하여 외부 저장소 연동을 통한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로그 개선, 헬스 체크 경로, WebSocket 핑 간격 등 다양한 `anycable-go` 설정 옵션이 추가되어 운영 편의성과 제어 능력이 강화되었습니다.
- `anycable-rails`는 연결 및 어댑터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여 Ruby 온 Rails 애플리케이션과의 유연한 통합을 지원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Rails 집중 컨퍼런스: 고수준 콘텐츠와 글로벌 네트워킹
Tropical on Rails 2025
- Rails 프레임워크에 전적으로 초점을 맞춘 전문 개발자 컨퍼런스입니다.
- 이틀간 진행되는 고수준 기술 콘텐츠와 국제적인 연사 강연이 특징입니다.
- 라틴 아메리카 및 전 세계 개발자, 기업과의 폭넓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Hotwire와 StimulusJS를 활용한 Rails 블로그 텍스트 하이라이트 및 노트 기능 구현
Adding Text Highlights and Notes in Rails with Hotwire
- Hotwire와 StimulusJS를 사용하여 Rails 블로그에 텍스트 하이라이트 및 노트 생성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 사용자가 선택한 텍스트의 시작 및 끝 오프셋을 정확히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트 생성 다이얼로그를 동적으로 표시합니다.
- `<mark>` 태그와 `turbo-frame`을 활용하여 하이라이트된 텍스트와 마우스 오버 시 노트를 동적으로 표시하는 기법을 소개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WWDC 2025 SwiftUI WebKit API 공개, Turbo SwiftUI 실현의 가능성
Turbo SwiftUI
- WWDC 2025에서 발표된 새로운 SwiftUI WebKit API가 Turbo SwiftUI 앱 개발의 현실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 이 API는 Turbo의 Visitable 프로토콜과 유사한 내비게이션 연동 기능 및 유연한 외부 URL 처리를 위한 URLScheme/Handler를 제공합니다.
- 저자는 과거 Legible News 앱으로 시도했던 Turbo SwiftUI의 꿈을 새로운 API를 통해 macOS, iPadOS, iOS 전반에 걸쳐 구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서비스 워커를 활용한 Hotwire 오프라인 모드 구현
Rails World 2025 - Amsterdam, NL — Bringing Offline Mode to Hotwire with Service Workers
- Hotwire 오프라인 모드 구현을 위해 서비스 워커를 활용하는 37signals의 접근 방식과 그 과정에서 겪는 난관을 다룹니다.
- 서비스 워커의 복잡성과 Hotwire Native 앱에 적용 시 발생하는 특수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탐구합니다.
- Hotwire의 오프라인 기능에 대한 현재 계획과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며, 개발자들에게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Superform 0.6.x 릴리스: 개발 편의성 개선 및 강력한 기능 추가
Beautiful Ruby
- Field Kits 도입으로 Phlex 및 ERB 렌더링 시 명시적 `render` 호출 및 `<% %` 태그를 제거하여 폼 빌더 코드를 간결하게 개선했습니다.
- Phlex 2.0 호환성을 확보하고 HTML5 전용 입력 메서드를 추가하여 폼 정의의 가독성과 작성 편의성을 향상했습니다.
- Superform::Rails::StrongParameters 모듈을 공식화하여 컨트롤러에서 별도의 파라미터 허용 목록 관리 없이 폼 정의 기반의 강력한 파라미터 처리를 지원합니다.
Hotwire Weekly
2025년 09월 02일
Polrax 사례를 통해 본 Ruby on Rails 애플리케이션용 MCP 서버 구축 및 도전 과제
Adding MCP to a legacy web application - Cezary Kłos [EN]
- Polrax는 Rails 7.2 기반의 오픈 에어 레이스 추적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환경이 불안정한 현장에서 참가자의 DNF/DNS 상태를 수동으로 처리하는 비효율적인 문제를 겪고 있었습니다.
-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LLM에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전달하는 프로토콜로, Fast MCP와 Ruby SDK를 활용하여 Polrax의 문제 해결을 위한 PoC 서버를 구축했습니다.
- MCP는 빠른 진화, 미완성된 기능, 인증의 어려움, 대중적인 무료 클라이언트 부족 등 여러 도전 과제를 안고 있으나, 미래에 M*N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표준이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Visuality.pl
2025년 09월 02일
Heroku에서 단일 PostgreSQL을 사용하는 Rails 모놀리스의 스케일링 교훈
Serious growth. Serious business. Powered by a monolithic Rails application - Tomasz Stachewicz [EN]
- 초기 스타트업은 불필요한 성능 최적화 대신 기능 개발에 집중해야 하며, 최적화는 실제 데이터 기반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의 주요 병목은 데이터베이스이며, Heroku와 Rails 모놀리스는 높은 성장률에도 효과적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 PostgreSQL 성능 관리는 EXPLAIN ANALYZE 이해, 인덱스 및 캐싱 전략, 쿼리 플래너의 특성 파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Visuality.pl
2025년 09월 02일
루비 온 레일스 생태계: 최신 동향과 지속 가능한 가치 탐구
ep 23. Rails는 죽지 않았다! 🚀 2년 만에 스타트업 초능력? feat 신규 도구, AI, 커뮤니티
- 스타트업 창업자는 Rails를 '초능력'으로 칭하며 빠른 개발 속도, AI 통합 성공, 그리고 인재 확보의 역발상 전략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 RV, Callback Hell, Smart Ignored Columns 등 새로운 도구들이 루비 개발 환경의 생산성과 코드 품질을 혁신하며 개발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과 '바닐라 Rails' 철학을 고수하는 Buzzsprout의 장기적 성공 사례는 Rails 생태계의 견고함과 지속 가능한 가치를 입증합니다.
Ruby on Rails 소식지
2025년 09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