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활용 전략: 컨텍스트 제어 및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LLM의 효과적인 활용은 ‘컨텍스트’를 정교하게 제어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컨텍스트 부족은 ‘환각’을, 과도한 컨텍스트는 LLM의 과부하를 초래하므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필수적입니다. CLAUDE.md, Glossary, Style Guide, Commands 파일 등을 활용하여 LLM에 필요한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합니다.
LLM을 통한 개발 생산성 향상
LLM은 소프트웨어 개발 전반에 걸쳐 생산성을 높입니다.
* 코드 작성 및 리팩토링: 버그/기능 명세 상세화, 기술적 조언, 자연어 명령을 통한 대규모 파일 변경 및 리팩토링(예: 3만 개 테스트 케이스 리팩토링으로 테스트 시간 단축)에 활용됩니다.
* 버그 수정 및 TDD: 테스트가 있는 경우 LLM은 복잡한 버그를 단시간에 해결하며,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여 TDD를 가속화합니다.
* 코드 리뷰 자동화: code_review.md 파일을 통해 린터 실행, 테스트 검증, 스타일 가이드 준수, 보안 및 문서 업데이트 등 반복적인 코드 리뷰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Ruby on Rails 애플리케이션에 LLM 통합
- RubyLLM Gem: LLM API와 Ruby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도구(tools)’ 개념으로 이미지 요약, 키워드 추출, PDF 문서 가져오기 등 기능을 확장합니다.
- MCP (Model Context Protocol) 및 Fast-MCP Gem: 대화형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프로토콜로, Rails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LLM이 자원과 도구를 검색하고 호출할 수 있게 하며, OAuth2 인증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