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ls 백엔드 디자인 패턴

Back-end Design Patterns in Rails Eliminate Bloated Code! - The Miners

작성자
jeff
발행일
2025년 07월 23일

핵심 요약

  • 1 Rails 애플리케이션에서 컨트롤러의 비대화를 막고 비즈니스 로직을 체계화하기 위해 디자인 패턴이 필수적입니다.
  • 2 디자인 패턴은 반복되는 문제에 대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Rails 커뮤니티에서는 Service Objects, Result Objects, Query Objects, Serializer와 같은 특정 패턴이 발전했습니다.
  • 3 이러한 패턴을 적용하면 코드의 유지보수성, 테스트 용이성, 재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기술 부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도입

Rails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비즈니스 로직이 컨트롤러에 무분별하게 퍼져나가 컨트롤러가 비대해지고 읽기 어렵고 테스트하기 힘든 코드가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사용자 권한, 프로모션, 재고 확인 등 다양한 규칙이 추가될수록 이러한 문제는 심화되며, 이는 예측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코드베이스로 이어집니다. 디자인 패턴은 이러한 혼란을 방지하고 로직을 구조화하여 코드베이스의 유지보수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디자인 패턴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Rails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주요 백엔드 디자인 패턴들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디자인 패턴은 특정 맥락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검증된 해결책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코드를 재사용하는 것을 넘어, 문제 해결 방식 자체를 표준화하여 개발 효율성과 코드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문제”, “맥락”, “해결책”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은 경험을 통해 정형화되고 이름이 붙여져 다른 개발자들에게 재활용됩니다.

하지만 모든 패턴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며, 때로는 직관적으로 보이지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안티 패턴(Anti-Patterns)’도 존재합니다. ‘God Objects’, ‘React Mixins’, ‘Rails Fat Controllers’ 등이 대표적인 안티 패턴입니다. 팀 내에서는 일반적인 디자인 패턴을 강요하기보다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는 패턴을 육성하여 개념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전적인 디자인 패턴은 언어 중립적이지만, Ruby on Rails와 같은 프레임워크는 자체 생태계에 더 적합한 커뮤니티 컨벤션으로 패턴을 발전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Service Objects는 Command Pattern의 변형이며, Form Objects는 Adapter Pattern과 유사합니다. 다음은 Rails 백엔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뮤니티 디자인 패턴들입니다.

1. Serializer (직렬 변환기)

  • 맥락: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전송될 때 변환이 필요할 때
  • 문제: API 버전이나 XML, JSON과 같은 다양한 형식에 따라 데이터 변환 방식이 달라져 일관성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 해결책: 원본 데이터를 필요한 형식이나 사양으로 변환하는 객체를 생성하여 데이터와 형식/사양을 분리합니다.
  • 특징: ProductSerializer와 같이 객체 이름을 지정하고, to_json과 같은 to_FORMAT 패턴의 공개 메서드를 사용하여 의미론적 이점을 얻습니다. 컨트롤러에서 복잡한 데이터 변환 로직을 제거하고 직렬 변환기에 위임하여 깔끔한 코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Result Objects (결과 객체)

  • 맥락: 작업의 반환 값을 표준화하여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할 때
  • 문제: 작업 결과가 통일되지 않아 nil 체크나 임시 오류 처리와 같은 모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성공 또는 실패를 명시적으로 나타내고 관련 데이터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불변(immutable) 결과 객체를 도입하여 제어 흐름을 간소화합니다.
  • 특징: Result 기본 클래스와 SuccessResult, FailureResult 서브클래스를 사용하여 결과를 구분합니다. success? 또는 failure?와 같은 명확한 불리언 체크를 제공하여 일관된 오류 처리와 테스트 용이성을 높입니다.

3. Service Objects (서비스 객체)

  • 맥락: 복잡하고 긴 비즈니스 로직이나 액션을 캡슐화하고 재사용 가능한 객체에 담아야 할 때
  • 문제: 모델 클래스에 넣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핵심적인 동작이나 비즈니스 로직이 특정 위치에 자연스럽게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또한 호출자로부터 동작을 분리하여 SOLID 원칙을 유지해야 합니다.
  • 해결책: 전체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내는 단일 호출 가능한 객체를 생성합니다.
  • 특징: CreateProduct와 같은 VerbSubstantive 패턴 또는 ProductCreator와 같은 SubstantiveSubject 패턴으로 객체 이름을 지정합니다. call이라는 단일 공개 메서드를 가지며, 이는 Result Object를 반환하여 작업의 결과를 명확히 합니다. ApplicationService와 같은 기본 클래스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4. Query Objects (쿼리 객체)

  • 맥락: 인덱스에서 특정 객체에 대한 쿼리 및 필터가 있을 때
  • 문제: 복잡한 쿼리와 필터 로직이 REST 액션이나 API 컨트롤러를 비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해결책: 쿼리 및 필터 로직을 나타내는 객체를 생성하여 이를 분리합니다.
  • 특징: FindProducts 또는 FindProductsQuery와 같이 VerbSubstantive 또는 VerbSubstantiveQuery 패턴으로 객체 이름을 지정합니다. call, execute, fetch와 같은 단일 공개 메서드를 사용하여 쿼리를 실행하며, 추가 매개변수로 쿼리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

디자인 패턴은 공통적인 개발 문제에 대한 구조화된 해결책을 제공하여 코드베이스를 깔끔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듭니다. Service Objects, Result Objects, Query Objects, Serializer와 같은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비대해진 컨트롤러와 복잡하게 얽힌 로직을 피하고, 테스트 용이성과 코드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기술 부채를 줄이고 더욱 견고하며 유지보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디자인 패턴에 대한 심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patterns.dev, Refactoring Guru, Martin Fowler의 "Patterns of Enterprise Application Architecture"와 같은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