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 레퍼런스 매뉴얼 프로젝트(Rurema) 현황 및 향후 계획

[28M05] Ruby Reference Manual Renewal Project 2010 Summer (ja)

작성자
RubyKaigi
발행일
2025년 10월 05일

핵심 요약

  • 1 Ruby 레퍼런스 매뉴얼 프로젝트(Rurema)는 내장 라이브러리 문서화의 상당한 진전을 보였으며, 제3단계 완료를 목표로 표준 라이브러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2 프로젝트는 레포지토리 이전, Redmine Wiki 통합, 새 문서 사이트(doc.ruby.or.jp) 공개 등 인프라를 개선했으나, 커미터 감소와 참여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 3 참여자 확대를 위해 VM 이미지 배포 및 자동화된 빌드 환경 구축을 추진하며, 특히 Windows 관련 라이브러리, Ruby 1.9.2 지원, 그리고 `Complex`, `Encoding` 라이브러리 문서화에 대한 기여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도입

Ruby 레퍼런스 매뉴얼 프로젝트(Rurema)는 Ruby 언어의 공식 문서를 체계화하는 중요한 이니셔티브입니다. 본 발표는 2009년 RubyKaigi 이후 Rurema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주요 성과, 직면한 과제 및 향후 계획을 상세히 다룹니다. 내장 및 표준 라이브러리의 모든 메서드 엔트리 기술을 목표로 하는 '제3단계'의 현황과, 프로젝트 참여가 Ruby 개발자에게 주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초기에는 문서의 질보다 양적 완성을 우선시하여 빠른 진척을 도모했습니다.

Rurema 프로젝트 현황 및 인프라 개선

  • 제3단계 진행 상황: Ruby 레퍼런스 매뉴얼 프로젝트(Rurema)는 내장 및 표준 라이브러리 메서드 엔트리 기술을 목표로 하는 제3단계를 진행 중입니다. 내장 라이브러리는 거의 완료되었으나 ComplexEncoding이 남아있습니다. 표준 라이브러리는 절반 이상 완료되었으며, 가속화 시 1~2년 내 완료를 목표로 합니다.

  • 인프라 변화: 리포지토리를 ruby-lang.org로 이전하고 Rurema 위키를 Redmine 위키로 마이그레이션했습니다. Ruby 1.8.6부터 1.9.2까지의 HTML 문서와 Rurema Search를 제공하는 새 문서 사이트 doc.ruby.or.jp도 공개했습니다.

주요 과제 및 기여 요청

  • 과제: 리포지토리 이전으로 커미터 수가 감소했습니다. Windows 관련 라이브러리 문서화, Ruby 1.9.2 대응, 표준 라이브러리 작업, BitClust 등 도구 정비가 시급합니다.

  • 참여 이점: Rurema 참여는 Ruby 소스 코드 분석을 통한 언어 이해 심화, 버그 발견 및 보고를 통한 Ruby 역사 기여, 그리고 Ruby 관련 지식 및 기술 향상에 기여합니다.

향후 계획

  • 목표: 제3단계의 빠른 완료와 함께 2011년 RubyKaigi에서 프로젝트 완료를 발표하는 것입니다.

  • 참여 환경 개선: VM 이미지 배포, Ruby 버전 자동 설치 환경 구축 등을 통해 신규 참여자의 기여를 용이하게 할 예정입니다.

결론

Ruby 레퍼런스 매뉴얼 프로젝트(Rurema)는 내장 라이브러리 문서화에서 상당한 진척을 보였습니다. 인프라 개선과 새 문서 사이트 공개로 접근성은 높아졌으나, 커미터 감소와 Windows 관련 라이브러리 및 Ruby 버전 지원 등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프로젝트는 제3단계의 조기 완료를 위해 참여 환경을 개선하고 개발자 기여를 독려합니다. Rurema는 Ruby 개발자들에게 언어 이해와 실제적인 기여 기회를 제공하며, 2011년 RubyKaigi까지 완료를 목표로 합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