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문서의 수명 문제와 해결 방안
-
문제점: 루비 기술 서적은 6년 내 개정판이 필요할 정도로 수명이 짧습니다. 저자 한 명의 역량에 의존하여 업데이트가 지연되면 서적이 빠르게 구식이 되어 사라집니다.
-
해결 방안: 저자 의존성을 벗어나 다수의 기여자가 지속적으로 내용을 갱신할 수 있는 협업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는 ‘사람을 넘어섬으로써 시간을 넘어선다’는 철학에 기반합니다.
루비 기반 협업 출판 시스템 구상
발표자는 루비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1. 쉬운 문서 작성 및 변환 도구: Re:VIEW
-
개요: 아오키 씨가 개발하고 무토 씨가 유지보수하는 경량 마크업 언어 및 변환 도구입니다.
-
활용: “Ruby Recipe Book 303 Techniques 3rd Edition” 및 RubyKaigi 튜토리얼 자료 작성에 사용되었습니다.
-
출력: InDesign, ePub, LaTeX 등 다양한 형식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2. 문서 관리 및 협업 시스템: Redmine 기반 플러그인
-
Redmine: 루비로 개발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입니다.
-
Gitosis: 다중 사용자 Git 저장소 관리를 돕는 도구입니다.
-
Redmine Gitosis Plugin: Redmine과 Gitosis를 연동합니다.
-
Redmine DocPub Plugin (개발 중): 발표자가 직접 개발하는 플러그인으로, Redmine과 Git으로 관리되는 Re:VIEW 소스에서 문서를 생성합니다.
비전: 문서용 Git 및 출판 생태계
-
목표: GitHub처럼 사용자들이 문서를 ‘포크(fork)’하여 자유롭게 편집하고, 이를 출판하며 나아가 판매까지 가능한 새로운 전자출판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
도전: 저작권 등 권리 관계 문제가 복잡하여 판매 시스템 구현에는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
구현 목표: RubyKaigi 2011까지 핵심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