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흔한 실패와 그로부터 얻는 교훈

Adam Piotrowski — It Is Not So Bad, After All | Baltic Ruby 2025

작성자
Baltic Ruby
발행일
2025년 08월 30일

핵심 요약

  • 1 부정직한 개발자, 모호한 직급 정의, 유독한 클라이언트 관계 등 다양한 프로젝트 실패 사례를 통해 얻은 실질적인 교훈을 공유합니다.
  • 2 팀 내 소통, 문화적 차이 이해, 비용 관리, 외부 시스템 통합 위험 평가 등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를 강조합니다.
  • 3 개발자 커뮤니티 내 정보 공유의 중요성과 함께, 어려운 상황에서도 단호하게 대처하고 개선을 추구하는 용기를 역설합니다.

도입

경험 많은 Ruby 개발자이자 회사 CEO인 발표자 Adam은 새로운 정보로 압도하기보다는, 청중에게 위로와 관점을 제공하는 '부드러운 발표'를 목표로 합니다. 그는 15년간의 업계 경험, 회사 운영, 아웃소싱 및 채용 과정에서 겪었던 프로젝트의 '실패 사례', 병폐, 그리고 사소한 실수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이 발표의 궁극적인 목적은 청중의 프로젝트가 생각만큼 나쁘지 않을 수 있음을 상기시키고, 흔한 함정들로부터 교훈을 얻도록 돕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흔히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그 해결책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졌습니다. 발표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사례를 제시하며, 각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교훈을 강조했습니다.

1. 개발자 행동 및 팀 관리

  • 다중 프로젝트 작업: 한 개발자가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며 납기 지연과 소통 문제를 야기한 사례를 통해, 커뮤니티 내 정보 공유와 추천 시스템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팀원 간의 신뢰가 부족할 경우 페어 프로그래밍을 활용하고, 부정직한 행동은 조기에 인지하고 대처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 직급 명칭의 모호성: ‘시니어 개발자’와 같은 직급 명칭이 회사마다 다르게 정의되어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직무 기술서를 명확히 하고, 구체적인 기대치와 기술 스킬 맵을 활용하여 혼란을 줄일 것을 제안했습니다.

2. 클라이언트 관계 및 외부 협력

  • 유독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소규모 회사가 유독한 대형 보험사 클라이언트와 협업하며 겪었던 어려움을 공유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두 회사를 같은 저장소에서 작업하게 하고 모든 책임을 개발팀에 전가했을 때 발생한 코드 충돌과 테스트 부재 문제를 통해, 부당한 요구에는 ‘아니오’라고 말하고 때로는 클라이언트를 떠날 용기가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 불필요한 미팅 및 문화적 차이: 인도 팀과의 프로젝트 인수인계 미팅에서 참석자들이 비개발자임에도 불구하고 질문하지 않아 발생한 비효율적인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회의 전 명확한 아젠다와 참석자 명단 확인, 그리고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문서화에 대한 오해: 미국 CTO와 중국 개발팀 간에 ‘docs’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문서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사례를 통해, 명확한 소통과 상호 문화 이해가 원격 팀 협업에 필수적임을 역설했습니다.

3. 기술 및 비용 관리

  • 클라우드 비용 낭비: 이전 CTO의 이메일로 AWS 알림이 전송되어 PostgreSQL 업데이트 지연으로 12만 유로의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한 사례를 통해, 개발자들이 비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레거시 API 통합의 위험: 오래되고 문서화가 부실한 SOAP API 통합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공유했습니다. 비기술적인 클라이언트에게 외부 벤더 통합의 위험성을 명확히 설명하고, 시간 및 재료(T&M) 모델을 고려하며, API의 에러 메시지 명확성을 사전에 확인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 코드 품질 및 유지보수: “내 코드는 완벽하다”고 주장하며 에러 로깅을 하지 않은 개발자의 사례와, 클라이언트가 Rails 2.x 애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를 거부하여 Heroku 정책 변경으로 시스템이 마비된 사례를 통해, 적절한 에러 처리와 지속적인 시스템 업그레이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결론

이 발표는 프로젝트가 도전적일 수 있지만, '괜찮은' 프로젝트라면 충분히 만족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역설하며 마무리됩니다. 발표자는 개발자들이 단호하게 행동하고, 문제가 있는 개인이나 상황에 대해 커뮤니티 내에서 공개적으로 소통하며, 실수로부터 끊임없이 배우도록 독려합니다. 핵심 메시지는 고난 속에서도 행복을 찾고, 경험을 공유하여 공동의 성장을 도모하는 지지적인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교훈들은 개발자들이 더 나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개인적인 성장과 함께 건강한 개발 문화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