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본질적 정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Matz는 Alan K.의 ‘메시지 전달’ 개념과 현대의 ‘상태 가진 객체’ 정의를 비교하며, OOP 핵심을 ‘객체의 정체성’과 ‘동적 바인딩’으로 보았습니다. 상속 없는 Go, Rust 같은 언어도 정체성을 통해 OOP로 볼 수 있으며, Ruby에서 클래스보다 모듈 사용이 증가하는 현상도 언급되었습니다.
상태 관리와 변경 가능성(mutability) 논의에서 José는 Elixir의 변경 불가능성 지향과 Ruby의 중립적 입장을 설명했습니다. Matz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사이드 이펙트와 상태 변화가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통제된 사용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언어가 특정 패러다임을 강제하기보다 개발자의 선택과 규율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언어 설계자의 역할과 커뮤니티 영향력도 다루어졌습니다. Matz는 Ruby 초기 개발의 어려움과 커뮤니티 기여를, José는 Elixir 개발자로서 외부 기대치 관리와 공유된 책임의 중요성을 회상했습니다. Elixir의 코드 포매터 도입 사례는 커뮤니티 요구가 언어 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습니다. Ruby의 하위 호환성 유지와 Rails의 빠른 변화 속도 차이는 각 분야의 환경 적응 전략임을 설명했습니다.
미래 프로그래밍 트렌드 전망에서 Matz는 JIT 컴파일러의 Ruby 성능 향상과 AI가 테스트 작성 및 타입 추론을 자동화하여 개발자가 핵심 로직에 집중하게 도울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José는 Rust처럼 저수준과 고수준 언어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언어의 등장을 기대하며 AI에 낙관적 입장을 보였습니다. 소프트웨어 복잡성 증가에 대한 우려도 공유하며 현명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