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Ruby를 활용한 고성능 마이크로서비스의 Rails 모놀리스 재통합

Cristian Planas — Full Circle: Modern Ruby & Microservices | Baltic Ruby 2025

작성자
Baltic Ruby
발행일
2025년 08월 30일

핵심 요약

  • 1 현대 Ruby는 과거의 성능 및 동시성 제약을 극복하며, 고성능 마이크로서비스를 Rails 모놀리스로 재통합하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 2 과거 JRuby 사용으로 인한 라이브러리 및 스레드 안전성 문제를 겪었으나, C Ruby의 발전으로 모놀리스 아키텍처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3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이벤트 소싱(Kafka) 등의 기술 발전과 Ruby 커뮤니티의 노력으로 Ruby는 더욱 빠르고 확장 가능하며 동시성 친화적인 언어가 되었습니다.

도입

이 발표는 현대 Ruby가 고성능 마이크로서비스를 Rails 애플리케이션에 재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연사는 15년 이상 Ruby 개발자로 활동하며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10-15년 전 많은 기업이 Ruby의 한계 때문에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했던 결정이 오늘날에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과거 Ruby의 메모리 관리 및 GVL(Global VM Lock)로 인한 동시성 문제를 JRuby로 해결하려 했던 사례를 통해 언어 및 아키텍처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대 Ruby의 발전이 모놀리스 아키텍처의 재평가를 이끌고 있음을 설명합니다.

과거 Ruby는 메모리 관리, GVL(Global VM Lock) 및 그린 스레드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확장성 및 동시성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기업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하거나 JRuby와 같은 대안을 모색했습니다. JRuby는 실제 스레드와 Java 라이브러리 접근성을 제공했지만, Java 스타일 Ruby 코드 작성, 라이브러리 불일치(예: syck 파서 문제), 그리고 GVL 없는 환경에서의 스레드 안전성 문제와 같은 새로운 복잡성을 야기했습니다.

현대 Ruby의 변화와 모놀리스의 재조명

  • 마이크로서비스 재고: 연사는 마이크로서비스가 복잡성을 분산시킬 뿐 제거하지 못하며, 배포 및 테스트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고 주장합니다. Packwerk와 같은 도구는 모놀리스 내 모듈성 강화를 돕습니다.
  • 확장성 개선: 클라우드(Kubernetes)의 수평적 확장 용이성과 자체 호스팅 툴링의 발전(예: DHH의 AWS 탈출)은 특정 언어의 성능 제약을 완화합니다.
  • 이벤트 소싱 도입: Kafka와 같은 이벤트 소싱은 ETL 패러다임을 푸시 기반으로 전환하여 DB 부하를 줄이고 배치 처리를 단순화합니다. Kafka 컨슈머는 모놀리스에 통합되어 기존 비즈니스 로직을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 C Ruby의 발전: YJIT, Concurrent Ruby, Ractor 등 현대 C Ruby는 훨씬 빨라지고 동시성 친화적으로 진화했습니다. Karafka 문서의 동시성 강조는 Ruby 커뮤니티의 성숙도를 보여줍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현대 Ruby는 과거의 성능 및 동시성 제약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며, 훨씬 빠르고 확장 가능하며 동시성 친화적인 언어로 발전했습니다. 인터넷에서 논의되는 확장성 및 성능 문제는 종종 가설적이거나 극히 일부의 특수한 비즈니스에만 해당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Ruby 커뮤니티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오랫동안 노력해 왔으며, 그 결과 Ruby는 오늘날 강력한 웹 개발 도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와 팀에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대 Ruby는 많은 경우에 여전히 개발자에게 행복을 주는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