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ls 앱에서 RAG 작동 방식
Rails 애플리케이션에서 RAG는 사용자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검색(Retrieval), 증강(Augmentation), 생성(Generation)의 세 가지 핵심 프로세스를 거칩니다.
-
검색: 사용자 쿼리에 기반하여 지식 기반(예: 벡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의미론적으로 가장 관련성 높은 정보를 찾아냅니다.
-
증강: 검색된 정보를 정제하고 사용자 질문과 결합하여 LLM을 위한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구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토큰 예산 관리 및 문서 청킹 등이 이루어집니다.
-
생성: 증강된 프롬프트를 받은 LLM이 최종 답변을 생성합니다.
RAG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RAG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작동합니다.
-
벡터 데이터베이스: 문서를 벡터 형태로 저장하여 의미 기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 기반입니다.
-
임베딩 모델: 텍스트를 벡터 표현으로 변환하여 유사성 측정을 돕습니다.
-
리트리버: 사용자 쿼리와 유사한 정보를 벡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내는 검색 모듈입니다.
-
대규모 언어 모델(LLM): 검색된 문맥을 바탕으로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는 AI 엔진입니다.
-
오케스트레이션 계층: Rails 앱 내에서 문서 인덱싱, 임베딩 호출, 검색 실행 및 LLM 프롬프트 조립 등 전체 RAG 워크플로우를 관리합니다.
Rails RAG 구축 시 흔한 문제점과 해결책
Rails에서 RAG 시스템을 구축할 때 마주할 수 있는 주요 문제점과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큰 제한: LLM의 입력 길이 제한을 피하기 위해 컨텍스트 길이를 제한하거나 문서를 압축, 요약, 청킹합니다.
-
콘텐츠 불일치: 모델에 과도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신, 의미론적 순위 지정, 필터링 및 관련 없는 문맥을 무시하도록 프롬프트를 설계합니다.
-
메모리 누수: 대용량 문서 처리 시 자원 해제, 스트리밍 처리, 메모리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합니다.
-
성능 문제: 무거운 검색 작업은 백그라운드 잡으로 오프로드하고,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는 캐싱하여 앱 반응성을 유지합니다.
Rails RAG 앱 구축 단계 요약 (레시피 검색 어시스턴트 예시)
본문에서는 meilisearch-rails Gem과 httparty를 활용하여 레시피 검색 어시스턴트를 구축하는 구체적인 9단계 과정을 제시합니다.
-
Rails 앱 및 Gem 설정:
recipe_rag앱 생성 및 필수 Gem(meilisearch-rails,httparty,dotenv-rails) 설치. -
Meilisearch 서버 실행: Docker를 이용한 Meilisearch 서버 구동.
-
Rails-Meilisearch 연결:
initializer파일을 통한 설정. -
Recipe 모델 정의: 검색 가능한 필드를 포함한
Recipe모델 생성 및 Meilisearch 통합. -
샘플 데이터 로드:
db/seeds.rb를 통해 샘플 레시피 데이터 자동 인덱싱. -
RAG 서비스 로직 구현:
RecipeAssistantService에서 레시피 검색 및 OpenAI API를 통한 AI 답변 생성. -
웹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개발: 사용자 질문을 처리하고 서비스 로직을 호출하는
RecipeAssistantController생성. -
프런트엔드 UI 구축: ERB 템플릿을 활용한 간단한 웹 인터페이스 구현.
-
시스템 테스트: 개발 서버 실행 후 브라우저에서 RAG 기능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