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어시스턴트를 활용한 마케팅: 뉴스레터 요약 자동화

An LLM-based AI Assistant for the FastRuby.io Newsletter

작성자
Ruby Weekly
발행일
2025년 07월 24일

핵심 요약

  • 1 FastRuby.io는 Ruby/Rails 뉴스레터 발행을 위해 AI 어시스턴트를 개발하여 아티클 큐레이션 및 요약 생성 과정을 자동화했습니다.
  • 2 이 AI 어시스턴트는 Sinatra, pgvector, Langchain.rb와 OpenAI 모델(ada-002, gpt-40)을 활용하여 구축되었습니다.
  • 3 슬랙 연동을 통해 아티클을 수집하고, '생성 및 검토' 전략을 통해 고품질의 요약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필요 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재수정합니다.

도입

FastRuby.io는 매주 발행되는 뉴스레터의 루비 및 레일즈 관련 아티클 큐레이션 및 요약 작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을 개선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마케팅 팀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이 AI 어시스턴트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여 아티클 콘텐츠를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간결한 요약을 생성함으로써, 마케팅 팀이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I 어시스턴트 개발의 주요 목표는 효율성 증대와 함께 인간적인 소통의 요소를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매주 수십 개의 아티클을 요약하는 작업은 시간 소모적이고 지루할 수 있지만, 독자들에게 매력적이고 관련성 높은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AI 어시스턴트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기존 뉴스레터의 스타일과 톤을 유지하면서 핵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 AI 어시스턴트는 다음과 같은 기술 스택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Sinatra: 마케팅 팀이 AI 어시스턴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pgvector: 아티클 요약의 벡터 임베딩을 저장하고 쿼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 Langchain.rb: 임베딩 모델 및 LLM과의 상호작용을 처리하고 전체 워크플로우를 관리합니다.

임베딩 모델로는 OpenAI의 ada-002가, LLM으로는 OpenAI의 gpt-40 모델이 사용되어 고품질의 임베딩과 요약 생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AI 어시스턴트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팀원이 슬랙 명령어를 통해 아티클 링크를 제안하면, 어시스턴트는 해당 아티클의 HTML 콘텐츠를 가져오고, nokogiri (루비 HTML 파서)를 사용하여 제목과 본문 내용을 추출합니다.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는 최소한의 정제 과정을 거친 후, ada-002 모델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벡터 형태로 임베딩하고, 이를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pgvector를 통해 저장합니다. 이어서 요약 생성 프로세스가 트리거됩니다.

요약 생성 과정에서는 gpt-40 모델을 활용합니다. 먼저, pgvector의 코사인 유사도 검색을 통해 이전에 생성된 요약 중 가장 유사한 세 가지 예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옵니다. 이 예시들은 generatereview 전략에 사용됩니다. 초기 요약은 아티클 내용과 가져온 예시를 바탕으로 생성되며, 이후 이 초안은 예시 및 일련의 지침과 비교하여 스타일과 톤이 일치하는지 검토됩니다. 만족스러운 경우 승인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여 초안을 개선합니다. 요약 생성 및 검토에 사용되는 프롬프트 구조는 상세하게 정의되어 있어, 어시스턴트가 브랜드의 목소리와 스타일에 부합하는 요약을 생성하도록 돕습니다.

만약 AI 어시스턴트가 생성한 요약이 뉴스레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마케팅 팀은 간단히 버튼 클릭과 피드백 제공을 통해 요약을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때 LLM의 ‘온도(temperature)’를 조절하여 결과물의 창의성을 높이거나 낮출 수도 있습니다. 재생성 과정은 초기 생성과 유사하지만, 마케팅 팀이 제공한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더욱 맞춤화된 요약을 도출합니다.

결론

FastRuby.io 뉴스레터를 위해 개발된 AI 어시스턴트는 워크플로우를 효율적으로 간소화하여, 마케팅 팀이 링크 수집 및 요약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나 콘텐츠 큐레이션의 창의적인 측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LLM 기반 기능,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슬랙 연동의 조합을 통해 이 도구는 마케팅 팀의 상당한 운영 시간을 절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는 AI 기술이 비즈니스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