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Ruby.io 뉴스레터 제작을 위한 AI 어시스턴트 구축 사례

Generative-Ai at Custom AI Solutions

작성자
jeff
발행일
2025년 06월 02일

핵심 요약

  • 1 FastRuby.io는 격주 뉴스레터 제작 워크플로우 효율화를 위해 AI 어시스턴트를 개발하여 수작업 큐레이션의 비효율성을 해소했습니다.
  • 2 이 AI 어시스턴트는 Sinatra, pgvector, Langchain.rb를 핵심 기술 스택으로 활용하여 기사 요약 및 콘텐츠 큐레이션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 3 GPT-40 모델과 유사성 검색 기반의 '생성 및 검토' 전략을 통해 브랜드 스타일에 맞는 요약을 생성하며, 마케팅 팀의 피드백을 반영한 재생성 기능도 제공합니다.

도입

FastRuby.io는 격주로 발행되는 뉴스레터에 루비 및 레일스 관련 기사를 큐레이션하고 요약하는 과정을 진행해왔습니다. 이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수십 개의 기사를 요약하는 작업은 반복적이고 지루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이에 FastRuby.io 팀은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독자와의 소통에 필수적인 '인간적인 손길'을 유지하기 위해 AI 어시스턴트 개발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이 AI 어시스턴트는 반복적인 워크플로우를 줄이고 마케팅 팀이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 어시스턴트 스택

FastRuby.io는 빠르고 쉽게 구축하고 마케팅 팀이 활용할 수 있는 내부 도구를 목표로 다음과 같은 기술 스택을 선택했습니다. * Sinatra: 마케팅 팀과의 간단한 인터페이스 구축 * pgvector: 아티클 요약의 벡터 임베딩 저장 및 쿼리 * Langchain.rb: 임베딩 모델 및 LLM과의 상호작용, 워크플로우 관리 * OpenAI ada-002: 고품질 텍스트 임베딩 생성 * OpenAI gpt-40: 대규모 언어 모델(LLM)

작동 방식

팀원들이 Slack 명령어를 통해 링크를 제안하면 AI 어시스턴트가 다음 단계를 수행합니다. 1. 기사 HTML 콘텐츠 가져오기 2. nokogiri를 사용하여 제목 및 주요 콘텐츠 추출 3. 불필요한 요소 제거를 위한 콘텐츠 정리 4. ada-002 모델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벡터 임베딩으로 변환 5. 제목, 콘텐츠, 벡터를 pgvector를 통해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6. 요약 생성 프로세스 트리거

요약 생성 및 검토 전략

기사가 추가되면 gpt-40 모델을 사용하여 즉시 요약을 생성합니다. 1. 예시 검색: pgvector를 활용한 코사인 유사도 검색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전에 생성된 요약 예시 3개를 검색합니다. ruby def fetch_examples(article) examples = article.nearest_neighbors(:embedding, distance: "cosine").limit(3) examples.map(:summary) end 2. 초안 생성: 기사 내용과 검색된 예시를 기반으로 초안 요약을 생성합니다. 이때 특정 JSON 형식의 프롬프트 구조를 사용합니다. 3. 초안 검토: 생성된 초안을 예시 및 지침과 비교하여 FastRuby.io의 스타일과 톤에 부합하는지 검토합니다. 검토 프롬프트는 승인 여부(approved)와 필요시 피드백(feedback), 수정된 요약(revised_summary)을 반환합니다. 4. 반복: generate_summary 함수는 max_attempts 횟수만큼 generatereview 단계를 반복하여 최종 요약을 도출합니다.

요약 재생성

마케팅 팀은 생성된 요약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인터페이스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LLM의 temperature를 조절하여 요약을 쉽게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재생성 과정은 초기 생성과 유사하지만, 마케팅 팀의 피드백을 직접 프롬프트에 포함하며, 검토 단계는 생략됩니다.

결론

FastRuby.io가 개발한 AI 어시스턴트는 뉴스레터 워크플로우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마케팅 팀이 링크 수집 및 요약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나 콘텐츠 큐레이션의 창의적인 측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LLM 기반 기능, 간편한 인터페이스, Slack 통합을 통해 이 도구는 마케팅 팀의 운영 시간을 크게 절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는 AI 기술이 비즈니스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며, FastRuby.io는 이러한 AI 활용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기업들에게도 AI 도입 컨설팅을 제공할 의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