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트의 부상: Rails에서 에이전트 구축하기

Kinsey Durham Grace - Beyond the Prompt: Building Real-World LLM Features in Rails

작성자
Ruby Weekly
발행일
2025년 09월 16일

핵심 요약

  • 1 에이전트 AI는 자율적 의사결정과 태스크 체이닝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며, Rails 환경에서 구현 가능합니다.
  • 2 에이전트 구축에는 툴링, 메모리, 오케스트레이션, 플래닝이 필수적이며, 모듈화, 게이팅, 철저한 테스트, 투명성이 핵심적인 모범 사례입니다.
  • 3 에이전트는 미래에 더욱 인간 중심적이고 서브 에이전트 기반으로 발전할 것이며, 윤리적 활용과 Ruby/Rails 생태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됩니다.

도입

발표는 "에이전트의 부상(The Rise of the Agent)"이라는 주제로, 특히 Rails 환경에서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춥니다. 발표자인 Kinsey는 GitHub의 코딩 에이전트 핵심 팀원이자 Ruby Central 이사회 부회장으로서, 에이전트 AI의 개념과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청중에게 이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을 이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에이전트 AI가 단순한 챗봇을 넘어선 구조화되고 신뢰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함을 강조하며, 이 분야의 기본적인 용어와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으로 강연을 시작합니다.

발표는 에이전트 AI의 핵심 개념과 Rails에서의 구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에이전트 AI의 정의 및 구성 요소

  • 에이전트 AI: AI가 주체성(agency)을 가지고 프롬프트 없이도 스스로 행동하며, 목표 달성을 위해 단계를 수행하고 인간과 유사하게 행동하는 개념입니다.
  • 에이전트: 이러한 에이전트 AI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자율적으로 행동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컨텍스트를 이해하고, 하드코딩 없이 태스크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 현대 에이전트의 구성 요소: 목표(goal), 도구(tools), 플래너/오케스트레이터(planner/orchestrator), 장단기 메모리(long-term/short-term memory)를 포함합니다.
  • 워크플로우 vs. 에이전트: 워크플로우는 규칙 기반으로 정해진 단계를 수행하는 데 적합하며, 에이전트는 모델 기반으로 유연하게 학습하고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데 능숙합니다.

Rails에서 에이전트 구축하기

발표자는 Rails 애플리케이션(더미 지원 에이전트)을 예시로 들어 에이전트의 핵심 빌딩 블록을 설명합니다.

  • 툴링 레이어: Anthropic의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사용하여 AI 모델이 외부 도구, 서비스와 안전하게 통신하도록 합니다. Zendesk MCP 서버를 호출하여 지원 티켓 컨텍스트를 얻는 예시를 보여줍니다.
  • 메모리:
    • 장기 메모리 (AgentMemory):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플래너 응답, 도구 호출, 사용자 입력을 기록하여 에이전트의 생각과 컨텍스트 타임라인을 생성합니다. 망각을 방지하고 장기 세션을 지원합니다.
    • 단기 메모리 (State Store): JSONB 컬럼으로 에이전트의 현재 작업 상태(run metadata, plan, tool outputs, error retry 등)를 저장하여 실행 재개, 동시성 처리에 중요합니다.
  •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다단계 에이전트 작업을 계획, 실행, 감독하는 로직입니다. 도구 또는 LLM 호출, 가드레일 구현, 상태 유지, 재시도 및 롤백, 관찰 및 감사 기능을 수행합니다.
  • 플래닝: 에이전트의 실행 기능으로, 목표를 일련의 검증 가능한 단계와 행동으로 전환합니다. 하위 목표 구성, 리플렉션, 자기 비판, 사고의 사슬(Chain of Thought)과 같은 전술을 사용합니다.

에이전트 구축 모범 사례

  • 모듈화 및 유지보수성: 복잡한 에이전트 시스템은 빠르게 변화하므로, 지속적인 반복 개발을 위해 모듈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게이트 및 가드레일: 정책 검사, 속도 제한, 인간의 검토 등 에이전트의 행동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는 장치를 구현해야 합니다.
  • 프롬프트 변경 최소화: 사소한 프롬프트 변경도 에이전트의 동작에 예상치 못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간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철저한 테스트: 야간 평가(nightly evaluations) 및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es)를 통해 에이전트의 동작을 검증하고 안정성을 높입니다.
  • 관찰 가능성 (Observability): 에이전트의 모든 활동을 추적, 검사, 설명 가능하게 하여 윤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에이전트를 보장합니다.

결론

에이전트의 미래는 더욱 인간 중심적인 특성(개성, 관계 형성)을 가지며, 서브 에이전트 계층 구조를 통해 각 에이전트가 특정 책임을 맡는 형태로 발전할 것입니다. 또한, LLM 중심의 워크플로우를 넘어 워크플로우 자체가 내장된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발표자는 에이전트 솔루션이 과도하게 설계될 수 있음을 경고하며, 문제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투명성, 편향성 검토, 보안 정책, 감사 등의 윤리적 고려 사항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Ruby/Rails 커뮤니티가 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합니다. 궁극적으로 에이전트가 개발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증강하고 가속화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역설하며 마무리합니다.

댓글 0

댓글 작성

0/1000
정중하고 건설적인 댓글을 작성해 주세요.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