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이 발표는 Shopify Ruby 개발 경험 팀의 Vinnie가 Ruby LSP(Language Server Protocol)의 맥락에서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의 정적 분석에 대해 다룹니다. 정적 분석은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동작을 예측하는 기술로, 코드 완성, 정의 이동, 호버 정보 제공 등 다양한 개발 도구를 가능하게 합니다. DSL은 Ruby의 기능을 확장하여 특정 도메인에 맞는 구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Rails의 `belongs_to`나 `validate`와 같은 메서드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결론
Ruby에서 유용한 타입 체킹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확성도 중요하지만, 유용성(usefulness)을 희생해서는 안 됩니다. 점진적 타입 시스템은 요구사항이 아닌 도구이며, 사용자에게 최대한 유용하게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가장 흔한 사용 사례에 최적화하고, 예외적인 경우를 위한 탈출구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혁신적인 타입 어노테이션을 통해 Ruby의 동적인 특성을 효과적으로 다루고 더 나은 타입 체킹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합니다.